K패스(K-PASS) 카드는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가 주관하는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 사업으로, 일정 조건을 충족한 이용자에게 교통비의 최대 53%까지 환급해주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확장하여 전국 단위로 시행되며,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와 교통비 절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K패스 카드 적용 대상
K-패스는 전국 17개 시도, 189개 시군구에서 시행되며, 인구 10만 명 이하 지자체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지원 대상은 해당 지자체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만 19세 이상의 주민입니다. 단, 일부 카드사에서는 만 12세 이상부터 발급이 가능하며, 만 12~13세의 경우 법정대리인의 신청이 필요합니다.
환급 비율은 이용자의 유형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대상 유형 | 환급 비율 | 비고 |
일반인 | 20% 환급 | 기본 환급 비율 |
청년 (만 19~34세) | 30% 환급 | 연령 기준 |
저소득층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53.3% 환급 | 별도 증빙 필요 (정부 기준) |
다자녀 가구 | 30% 또는 50% 환급 | 자녀 수에 따라 차등 적용 (지자체 기준 상이) |
환급은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우에만 적용되며, 월 최대 60회, 일 최대 2회까지 인정됩니다.
이러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먼저 K패스 카드를 발급받아합니다. 두 번째로는 K패스 홈페이지에 회원가입(신청)을 해야하고, 마지막으로 등록하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K패스 카드 발급방법
K-패스 카드는 다양한 카드사에서 발급받을 수 있으며, 후불교통카드와 선불교통카드로 구분됩니다.
후불교통카드 발급이 가능한 카드사에는 신한카드, KB국민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 NH농협카드, BC카드, IBK기업은행, 광주은행, 케이뱅크 Cards가 있습니다.
선불교통카드 발급이 가능한 카드사는 이동의즐거움, iM유페이,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코레일(모바일 레일플러스)이 있습니다.
각 카드사의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하거나, 가까운 영업점을 방문하여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단, 만 12~17세의 경우 법정대리인을 통해 영업점에서만 발급이 가능합니다.
K패스 카드 신청방법 (회원가입 방법)
K-패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회원가입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은 K-패스 공식 홈페이지(https://korea-pass.kr)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진행할 수 있습니다.
https://korea-pass.kr/join/join.do
K-패스
K-패스 홈페이지
korea-pass.kr
회원가입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반드시 실물 카드를 소지한 상태여야 회원가입이 가능합니다.
카드 번호 유효성 체크를 진행한 후, 약관 동의, 본인 인증을 거쳐 회원이 될 수 있습니다. 주소지, 저소득 여부, 다자녀 여부 등 검증이 필요하고, 이외에 회원 정보 입력을 해야합니다.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당일부터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 카드 등록방법 (삼성페이 등록방법)
K-패스 카드를 발급받고 회원가입을 완료한 후에는 카드를 등록해야 합니다. 등록은 회원가입 과정 중에 이루어지며, 카드 번호를 입력하여 유효성을 확인하고, 본인 인증을 통해 완료됩니다. 여기서는 특별히 K패스(K-PASS) 카드를 삼성페이(삼성월렛)에 등록하여 모바일 교통카드로 사용하는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이를 통해 실물 카드를 소지하지 않고도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8Rf8If22kyY
먼저, K-패스 카드가 삼성페이 교통카드 등록이 가능한 카드인지 확인하세요. 일부 카드사만 지원하므로, 삼성월렛 앱의 공지사항에서 등록 가능 카드사 목록을 확인하거나 카드사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체크카드의 경우, 후불 교통카드 등록을 위해 '소액신용한도'가 설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해당 카드사에 문의하여 소액신용한도를 신청하신 후 등록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위 내용이 준비가 되었다면, 삼성월렛 앱 실행: 스마트폰에서 삼성월렛(구 삼성페이) 앱을 실행합니다. 교통카드 추가: 하단 메뉴에서 [전체]를 선택한 후, [교통카드 추가]를 누릅니다.
'티머니 교통카드' 또는 'EZL 교통카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교통카드 종류를 선택합니다. K-패스는 티머니 또는 EZL 기반으로 등록이 가능합니다.
결제방식에서는 본인이 발급한 카드의 방식을 선택하면 됩니다. '후불' 또는 '선불' 중 결제 방식을 선택합니다. '후불' 결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긴 합니다.
결제 카드로 K패스 카드를 등록하고 이용약관에 동의하면 끝입니다. 이제 K패스 할인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 드렸던 것처럼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우에만 적용되며, 월 최대 60회, 일 최대 2회까지 인정됩니다.
스마트폰으로 이용하실 때에는 스마트폰의 NFC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활성화되어있을 때에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카드 모드' 설정을 권장합니다.
⚠️ 등록 시 주의사항
기존 교통카드 삭제: 삼성페이에 다른 교통카드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K-패스 등록 전에 기존 교통카드를 삭제하시기 바랍니다.
등록 가능 카드사 확인: 삼성페이에서 모든 K-패스 카드가 등록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등록 가능 여부는 카드사에 문의하거나 삼성월렛 앱의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등록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거나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하시면, 삼성페이 고객센터(1588-7456) 또는 해당 카드사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K패스 카드 지역별 추가 혜택 안내
일부 지자체에서는 K-패스를 기반으로 한 지역 전용 혜택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경기도의 '더경기패스', 인천시의 '인천i패스', 부산시의 '동백패스' 등이 있으며, 해당 지역 주민은 주소지 인증을 통해 자동으로 혜택이 적용됩니다.
단, K-패스 회원 탈퇴를 하거나, 다른 교통카드를 등록하면 K-패스 혜택이 해지됩니다. 또한 적립금은 지급일로부터 7일 이내에 교통카드 메뉴에 진입하여 확인해야 하며, 이후에는 지급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자에게 실질적인 교통비 절감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로, 특히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분들에게 유용합니다. 각 카드사의 혜택과 본인의 이용 패턴을 고려하여 적절한 카드를 선택하고, K-패스에 가입하여 다양한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위의 절차를 따라 K-패스 카드를 삼성페이에 등록하시면, 스마트폰만으로도 대중교통을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등록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거나 추가적인 도움이 필요하시면, 삼성페이 고객센터(1588-7456) 또는 해당 카드사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